본문 바로가기
IT 공부/linux

centos7 명령어 정리

by woohot 2022. 8. 17.

find 명령어

find . -name "파일이름" -type d[directory]  / type 은 디렉토리만 찾는 옵션

find . -empty                                           /빈파일 찾기

find /etc -maxdepth2 -name 'x*'                /sub directory 검색 깊이를 지정한다.

find -newer new.java                                       / new.java 보다 최근에 변경된 파일을 검색

sudo find / -size +10M -exec ls -lh{} \;

 

 

scp

#Local -> Remote

scp 목적파일명(경로) 유저명@IP주소 : 목적디렉토리

scp E:/dev/workspace_dnx/dnx_trunk/web/nasv4/view/um/um016.jsp smarteco@192.168.0.55:/home/smarteco/test

#Remote -> Local

scp 유저명@IP주소: 파일디렉토리 목적파일명(경로)

scp -P 22 -r smarteco@192.168.0.55:/home/smarteco/test E:/dev/workspace_dnx/dnx_trunk/web/nasv4/view/um

#Remote(source) -> Remote(target)

scp 유저명@IP주소: 파일디렉토리 유저명@IP주소: 파일디렉토리

 

 

tar 파일

  • tar로 압축하기

tar -cvf [파일명.tar] [압축시킬 폴더]

  • tar 압축 풀기

tar -xvf [파일명.tar]

  • tar.gz 로 압축

tar -zcvf [파일명.tar.gz] [폴더명]

  • tar.gz 압축 풀기

****tar -zxvf [파일명.tar.gz]

옵션 정리

  • f : 대상 tar 아카이브 지정 ( 기본 옵션 ) / 파일이름 지정
  • c : tar 아카이브 생성 . 기존 아카이브 덮어 쓰기 (파일 묶을 때 사용)
  • x : tar 아카이브에서 파일 추출. (파일 풀 때 사용)
  • v : 처리되는 과정(파일 정보)을 자세하게 나열.
  • z : gzip 압축 적용 옵션
  • j : bxzip2 압축 적용 옵션
  • t : tar 아카이브에 포함된 내용 확인.
  • C :대상 디렉토리 경로 지정
  • A : 지정된 파일을 tar 아카이브에 추가
  • d :tar 아카이브와 파일 시스템 간 차이점 검색
  • r : tar 아카이브의 마지막에 파일들 추가
  • u : tar 아카이브의 마지막에 파일들 추가 ??
  • k : tar 아카이브 추출 시, 기존 파일 유지
  • U : tar 아카이브 추출 전,기존 파일 삭제
  • w : 모든 진행과정에 대해 확인 요청
  • e : 첫 번째 에러 발생 시 중지.

tar 란?

tar 는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로 묶기 위한 소프트웨어 유틸  Tape Archive 에서 유래

.tar 로 만든 파일안에는 파일 이름,타임 스탬프,소유권,파일 접근 권한, 디렉토리 구조 등의 다양한 파일 시스템 매개변수가 들어있다.

Archive 란?

이식,저장,압축을 위해 여러 개의 데이터 파일을 하나로 모은 것을 의미한다.

단순하게 파일을 한곳으로 모은 것을의미하는데 때로는 압축 파일을 의미할 때도 있다.

 

기본 명령어

grep : 입력으로 전달된 파일의 내용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고자 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awk :  파일로부터 레코드(record)를 선택하고, 선택된 레코드에 포함된 값을 조작하거나 데이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https://recipes4dev.tistory.com/171

 

sed: streamlined editor / 출력된 결과가 원본과 다르더라도  원본에 손해가 없다.

https://jhnyang.tistory.com/287

 

lsof: list open files 의 약자로 시스템에서 열려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해주는 명령어.

https://dev.plusblog.co.kr/44

 

curl:  명령행 기반 웹 요청 도구. 특히 RES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테스트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najava&logNo=221475382900&categoryNo=52&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postView

 

wget: web get 의 약어로 웹 상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 사용

http://www.incodom.kr/Linux/기본명령어/wget

 

tail : https://twpower.github.io/169-tail-command-usage-with-examples

 

head:   텍스트로된 파일의 앞부분을 지정한 만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http://www.incodom.kr/Linux/기본명령어/head

 

less:   less는 한 번에 보여지는 만큼만 읽어서 출력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파일을 열어 볼 때 빠르게 사용 할 수 있다.

http://www.incodom.kr/Linux/기본명령어/less

 

 

메모리 사용량 표시 (ps -ef)

ps -eo user,pid,ppid,rss, size,vsize,pcpu,pmem , time,cmd —sort -rss

inode 번호 확인하는 명령어

$ ls -i [파일명]

하드 링크의 개수를 알아보는 명령어

$ stat [파일명]

심볼릭 링크 찾는 명령어

$ find /etc -type l -exec ls -li {} \;

alias 설정

alias [name] ‘ls -al’

 

vi 명령어

이동

esc 표준모드 로

gg  맨 위로 이동

G   맨 아래로 이동

숫자적고 G 하면 해당 줄로 이동

'IT 공부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7 gui  (0) 2023.02.27

댓글